#1 Git ≠ GitHub
깃(Git)과 깃허브(GitHub)는 같은 것이 아닙니다.
Git은 버전 관리를 손쉽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이며, GutHub는 이 Git으로 저장된 내용들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 중 가장 유명한 것일 뿐, 깃허브만 이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2 GitHub를 사용하는 이유.
소스 코드의 버전별 저장/관리
팀 프로젝트(협업) 코드 공유
코드의 배포
파일을 통으로 복사하지 않아도 브렌치를 이용해 여러 가지 패턴을 시도해 볼 수 있음 등.
#3 깃허브(GitHub) 사용 준비
1) GitHub 유저등록
아래의 GitHub 홈페이지로 이동한 후 회원가입(Sign Up)을 하고 로그인(Sign In)을 합니다.
링크 : https://github.com/
2) 작업 폴더를 생성
저장소(repository)라고 불리는 작업 폴더를 생성합니다.
왼쪽의 초록색 Create repository 버튼 또는 오른쪽 위의 + 아이콘을 눌러 New repositiory를 클릭합니다.
다음 Repository name에 원하는 작업 폴더 이름을 작성한 후, 가장 아래쪽으로 스크롤을 내린 후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하면 완료입니다.
중간에 소스 코드를 공개(Public)할 것인지 비공개(Private) 할 것인지 선택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협업 / 포트폴리오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일반적으로는 공개로 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3) Git 설치
GitHub를 사용하기 위해선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Git의 설치 방법은 다음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맥 기준으로 설명한 내용이지만 윈도우는 Homebrew 설치 과정이 없기 때문에 그냥 바로 설치가 가능하니 더 쉽습니다
4) 터미널 실행 & 기본 세팅
윈도우에서는 Git을 설치하여 새롭게 생성된 Git Bash를, 맥은 터미널을 실행하여 영어만 나와있는 개발자스러운 모습의 창을 열어봅니다.
터미널 창에서 유저 기본 설정을 해 줄 것인데,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입력해 줍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GitHub가입한 이메일"
위 내용을 입력해도 딱히 창에서 반응은 없는데, 제대로 입력된 것인지 확인해 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르면 영어로 글이 쭈욱 나오며 등록된 이름과 이메일 주소가 잘 등록이 되어있다면 성공입니다.
git config --list
샘플)
#4 GitHub (처음) 사용방법
1) 작업 폴더 생성
우선 코드를 작성하며 작업할 폴더를 하나 만들어 줍니다.
*그냥 윈도우에서 새로운 폴더 만들기를 통해서 진행하면 됩니다.
2) 작업 폴더로 이동
git bash 또는 터미널에서 작업 폴더로 이동합니다.
터미널의 명령어를 전혀 모른다면...
폴더의 이동이 목적이기 때문에 이동 관련 명령어만 몇 개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를 제외한 안에 내용만 입력
현재 위치에서 어떤 폴더들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는 「dir」 (양이 많을 경우 「dir /w」를 입력해서 짧게 나열해서 보기 가능)
하위 폴더로 이동하기 위해선 「cd 폴더이름」
이전 폴더로 돌아가기 위해선 「cd..」
가장 쉽게 이동하는 방법
Visual Studio Code를 실행한 후, 폴더 열기를 이용해 해당 폴더를 연 후, VSCode 내부의 터미널을 이용해도 됩니다.
3) GitHub에 업로드하기 위한 순서
해당 작업 폴더로 이동하였다면 다음 순서대로 진행해 봅시다.
아래 내용은 모두 GitHub에서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이 안내해주는 글에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단지 영어로 되어있을 뿐...)
(1) 초기화 코드 입력
git init
(2) 업로드할 파일을 선택
위 이미지에서는 git add README.md라고 되어있는데, README.md라는 파일 하나만 올리겠다는 뜻이며, 파일을 모두 올릴 때는 파일 이름 대신 뒤에 점(.)을 찍어주면 됩니다.
git add .
뭔가 명령을 입력하고 있는데도 아무런 반응이 없을 겁니다.
잘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고 싶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보면 해당 파일들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언제든지 사용해볼 수 있는 선택사항입니다. (OPTION)
git status
(3) 기록 하기(commit)
위에서 파일들의 추가가 진행되었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서 원하는 메시지와 함께 버전별 기록을 남길 수 있습니다.
-m 은 메시지를 남긴다는 것으로 "" 안의 내용은 남길 메시지를 원하는 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git commit -m "0331 헤더 추가"
(4) 깃허브와 연결하기
업로드 준비가 끝났으니 깃허브에서 생성한 저장소(repository)와 컴퓨터에 작성한 프로젝트를 연결해 줘야 합니다.
이 명령어도 위에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저장소 생성 후 나오는 안내 글에 있는 주소를 복사 > 붙여 넣기를 하면 됩니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Bi-Cute/Project_1.git
이 명령어 입력 또한 아무런 반응이 없는데,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OPTION)
git remote -v
자신의 깃허브 주소가 뜬다면 잘 연결되었다는 것입니다.
(5) GitHub에 업로드
이제 연결도 끝났으니 마지막입니다. 다음 코드를 입력하면 업로드가 완료됩니다.
git push origin main
push는 파일을 올린다는 거고 main는 브렌치(Branch)의 이름입니다.
처음인 데다 혼자서 하는 작업물이라면 위 명령 그대로 작성한 후, GitHub 페이지를 새로고침 해보면 파일이 업로드된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가끔 브렌치가 master으로 설정되어있는 분들도 있던데 그때는 main대신 master로 적어주면 됩니다. 예전엔 master가 기본이었는데 최근엔 여러 이슈로 main이 기본이 되었습니다)
#5 수정된 파일을 업데이트할 경우
위에서 등록된 파일을 작업을 하면서 계속해서 업데이트할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등록과 세팅을 제외한 다음 3가지 과정만 반복하면 계속해서 버전별 업데이트 내역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1) 작업한 파일 선택
git add .
(2) 작업한 내용 메시지와 함께 버전 등록
git commit -m "0401 푸터 제작"
(3) GitHub 업로드
git push origin main
그 외
GitHub관련 내용을 언제까지 작성할지 모르겠지만...
짧게 몇 가지 기능을 더 적어보자면,
위에서 잠깐 나온 브렌치는 혼자서 작업할 경우 여러 가지 버전을 테스트해보고 싶을 때 가지치기(git branch "브렌치명")을 통해 여러 가지 패턴을 시도해 볼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마음에 드는 브렌치가 있다면 git merge "브렌치명" 명령을 통해 main 파일로 합치는 것이 가능.
버전을 여러 개 만들다 보니 이전으로 돌아가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다음 명령을 통해 과거의 버전으로 리셋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git reset -- hard 「코드 번호」
코드 번호는 git log를 통해 이전 커밋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